LDH leakage Assay
1) LDH (latate dehydrogenase) leakage assay원리
LDH assay는 젖산탈수소효소의 활성을 측정하는 시험법으로 빠르고, 간단하며 신뢰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젖산탈수소효소는 일반적으로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여 세포 밖으로 배출되지 않으나, 세포막이 손상되거나 세포가 죽는 경우 배 지 중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배지 중의 젖산탈수소효소 양은 치사 또는 상해를 입은 세포의 수와 비례하게 된다.
2) 시험방법
① 실험재료
-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LDH Assay kit 중에서 선택
- 96well plate (flat bottom)
② 실험방법
- 96well plate에 각 well 당 세포 현탁액을 50 ~ 200㎕씩 분주한다.
(대조군: 세포는 없고 배지만 있는 대조군 준비, 양성대조군은 옵션)
- Triton X-100 용액을 각 kit에서 권장하는 용량만큼 첨가한다.
-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농도별로 각 well에 첨가한다.
- 시험물질이 충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동안 37℃, 5%, CO2 incubator에 배양한다.
-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00 ~ 600g, 5분 동안 세포를 침전시킨다.
- 새로운 96well plate에 상층액을 옮긴 후 LDH reaction 용액을 각 well에 첨가한다.
- 상온 또는 37℃에서 30분간 방치한다. (빛 차단 필수)
-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한다. (파장: 450nm ~ 490nm)
'강쌤의 실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ll Subculture protocol (0) | 2018.11.23 |
---|---|
Mouse stereotaxic surgery (0) | 2018.11.22 |
MTT assay (0) | 2018.11.21 |
PCR Primer Design Guidelines (0) | 2018.11.21 |
Mouse genotyping (0) | 2018.11.21 |